-
세계 환경의 날, 윤석열 정부는 환경 파괴 폭주를 멈춰라!
환경운동연합은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을 맞이해 1일 광화문에서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세계 환경의 날은 1972년 6월 5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 총회에서 제정해 만 50년이 지났다. 환경운동연합 측은 “세계 환경의 날을 기념하기 무색하게도 윤석열 정부는 케이블카, 공항 건설, 녹조 방치, 오염수 투기 찬성, 기후위기 방치 등 반환경적 행보를 이...
-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85.4% 반대!
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해 응답자의 85.4%가 반대 의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한 반대 의견은 조사 대상의 연령, 성비, 정치 성향에 관계없이 고르게 분포됐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오염수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우리 국민의 79.0%는 일본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많은 전문가들이 후쿠시마 오...
-
대우병원 진대호 병원장, ‘2023 올해의 新한국인 大賞’
개원 40주년을 맞이한 대우의료재단 대우병원 진대호 병원장이 시사투데이 주최·주관 2023 올해의 신한국인 대상을 받았다.진대호 원장은 선진 의료시스템 구축을 통한 거제시민 건강증진과 의료만족도 극대화에 헌신하고, 관내 의료수준 질적 향상에 앞장서며, 지속적인 나눔 활동을 통한 의료기관의 올바른 사회적 역할 수행에 기여한 공로다.대우병원은 1981년 (의)...
-
"한화오션은 하청노동자 차별을 없애야"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노조는 23일 대우조선해양이 임시 주총을 열고 사명을 한화오션으로 변경한 것과 관련 성명을 발표하고 "한화오션의 새로운 출발은 하청노동자 저임금 해결과 원하청 차별 해소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밝했다.노조는 "한화오션 직접생산의 80% 이상을 담당하는 하청노동자가 20년을 일하나 30년을 일하나 저임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임금, 고용...
-
확 달라진 제61회 '옥포대첩축제' 6월10~18일 열려
2만여명의 시민·관광객들이 참여해 성황리에 막을 내린 제60회 옥포대첩축제. 올해는 두배 가까이 늘어난 예산으로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마련했다. 6월10일부터 18일까지 40여 개의 단위행사가 하늘·바다·육지에서 시민들을 만난다.지난해 하루사이로 각각 따로 개최됐던 기념식과 개막공연이 올해는 옥포수변공원에서 한번에 열린다. 6월16일 금요일 19시30분, ...
-
거제시 20억 짜리 '짝퉁 거북선' 154만원에 팔아
세금 20억원을 들여 제작하고 유지 보수비 1억 5000만원이 들어간 거제시의 '짝퉁 거북선'이 결국 154만원에 팔렸다.거제시는 지난 16일 '거제시 공유재산 매각 일반입찰'에서 지세포 해양박물관 앞에 전시중인 '임진란 거북선'이 154만원에 낙찰됐다고 밝혔다. 올 2월 28일 최초 입찰 당시 1억1750만원에 ...
-
거제시, ‘고향사랑기부제’ 모금액 1억원 돌파
거제시는 ‘고향사랑기부제’시행 5개월만에 고향사랑기부금 모금액이 1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시에 따르면 19일 기준, 누적 모금액은 1억57만8천원이며, 총 기부자는 730명이다. 전액 세액공제가 되는 10만원 이하 기부자가 686명(9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100만원 이상 고액기부자는 19명이다.이처럼 많은 기부금이 모인 데는 전국 각지에 있는 향...
-
명사해수욕장에 '반려동물 해수욕장' 개장
거제시는 반려 인구 1,500만 시대를 맞아 민선 8기 공약사업의 일환으로 남부면 명사해수욕장 일원에 반려동물 해수욕장(거제 댕수욕장)을 조성·운영한다.오는 7월 1일 개장해 8월 20일까지 51일간 운영에 들어가는 거제 댕수욕장은 명사해수욕장 중앙 화장실을 기준으로 좌측에 반려동물 전용 구역을 설정하여 반려견을 동반한 가족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위한 해수욕...
- 대우조선 1분기 1204억 적자
대우조선해양이 연결기준 실적공시를 통해 2023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이날 발표된 대우조선해양의 2023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 4,398억원, 영업손실 △628억원, 당기순손실 △1,204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약 15.6%증가했고,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대폭 감소했다.대우조선해양 측은 1분기 적자의 주된 원인으로 외주비 상승 등 예정 원가 증가로 약 600억원 상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