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이장곤의 거제 유배와 소설 임꺽정
이장곤의 거제 유배와 소설 임꺽정
  • 거제통영오늘신문
  • 승인 2016.02.24 15: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제도유배 도망자 이장곤(李長坤)>
이장곤(李長坤,1474∼1519)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희강(希剛), 호는 학고(鶴皐)·금헌(琴軒)·금재(琴齋)·우만(寓灣)이다. 1504년 홍문관 교리로서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이듬해 거제도로 유배되었다. 이장곤이 유폐된 이유는 그를 천거하고 모셨던 이극균과 성준이, 연산군의 황음(荒淫)과 난정(亂政)을 바로 잡으려다가 모두 유배당한 후, 1504년 사사(賜死) 및 교살(絞殺)되었고, 이에 연산군이 평소 이극균, 성준과 가까운 이들을 모두 잡아 유배 보내거나 사사(賜死) 시키는 와중에 이장곤도 이에 연루되어 거제도로 유배되었다. 갑자사화로 당시 거제시 舊신현읍 일대에는 20여명이 유배와 있었는데 마땅한 배소가 없어, 대부분 2채인 초가집 중에 윗채는 주인이, 아래채는 유배인의 거처로 정해 기거하게 했으며, 형식상 집 주위에 탱자나무를 심고 한 명당 한명의 병졸이 지켰다. 이장곤은 거제시 고현동 고현시장 아래 바닷가 어부의 집 아래채에 기거했다.

1504년 말부터, 서울에서는 본격적인 갑자사화로 피의 소용돌이가 시작되었고, 연산군의 생모 윤씨 폐비사건에 연루된 사람들은 대역죄로 몰려 참혹한 벌들이 내려지는가 하면, 그 죄를 동성팔촌에까지 연좌시키게 되었다. 연산군은 엄숙의(嚴淑儀)와 정숙의(鄭淑儀)를 안뜰에서 함부로 마구 때려서 죽이고, 즉시 그 흔적을 없애 버렸다. 정숙의의 아들 봉안군(鳳安君) 봉(㦀)을 이에 연루시켜 생모 정씨를 때리게 하였다. 그리고 안양군(安陽君) 항(㤚)과 봉안군, 두 왕자를 거제도에 안치하였다가 얼마 뒤에 죽여 버렸다. 이때 거제도에서 귀양 살던 이장곤 홍언춘 이윤 등이 직접 이 사건을 보게 되었고, 이장곤이 거제도를 탈출하는데 결심을 굳히게 된 사건이었다. 중종반정 후 1506년 10월22일, 참찬관 이윤(李胤)이 아뢰길, “안양군과 봉안군에게 비록 예로 장사지내게 했으나, 그 시체가 아직도 거제도에 있고, 그 집 형세가 능히 운구할 수 없으니, 청컨대 그 가까운 족친에게 말을 주어 내려 보내서 보호하여 오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하니, ‘그렇게 하라.’ 전교하였다.[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은 특히 문무를 겸비한 이장곤(李長坤)을 가장 두려워했다. 마침내 변을 일으킬까 싶다 하여, 경사(京師)로 잡아 보내게 하여 장차 먼저 죽이려고 하였다. 당시 거제도에서 귀양 살던 이장곤은 연산군이 처형하려 하자 목숨이 경각에 달렸음을 눈치 챈다. 그는 주인 어부에게 부탁해 밤중에 웅천(진해)방향으로 배를 타고 도망갔다. 유배인을 감찰하던 근리사(謹理使) 유방(柳房)의 치계에 “죄인 이장곤(李長坤)이 도망갔다.”는 내용이 서울로 올라왔다. 거제현령과 경상감사가 파직 당하고 거제도 유배인들은 이후 중종반정이 일어날 때까지 철저한 감시 속에서 어려운 귀양살이를 이어갔다.
한편 이장곤의 도망으로 왕은 크게 노하여 상금을 걸고 체포를 서둘되, 경조관(京朝官)을 보내어 모든 도에 있는 관원과 함께 군대를 풀어 찾게 하니, 도하(都下)가 흉흉하여, 혹자는 이장곤이 망명하여 무리들을 모아 거병(擧兵)한다 하였다. 이에 왕은 "장곤의 집을 즉시 폐쇄(閉鎖)하고 그 부모·동생과 족친을 수금(囚禁)하며, 의금부 낭원(郞員) 중 순직 근신한 자를 보내어 그 형 이장길(李長吉)과 함께 조치하여 잡되, 손바닥을 꿰어 수갑을 채우고 칼을 씌워 오라."하였다. 이어 전교하기를, "의금부 낭원 중 활 잘 쏘는 무신 2명을 보내어 잡아오라. 이장곤은 활 잘 쏘는 용사이니, 그를 잡아 고하는 자는 익명서(匿名書) 때 잡아 고한 자와 같이 논상(論賞)하라.“ 또한 이장곤(李長坤)을 잡을 때 수령 등이 힘쓰지 않았으니, 왕명을 거역하고 준수하지 않은 죄, 기훼제서율(棄毁制書律)로 논죄하라했다. 함흥으로 달아난 이장곤은 양수척(楊水尺)의 무리에서 발을 붙이고 숨어 살다가 1506년 9월 중종반정으로 자유의 몸이 된 후 예조 이조 병조판서에 올랐다.
1928년~1940년까지 연재된, 벽초 홍명희의 미완성 대하역사소설 ‘林巨正’ 中, ‘이교리의 귀양’ ‘왕의 무도’ ‘이교리 도망’ 등에는 거제도를 역사적 상상력의 장(場)으로 펼쳤다. 소설 내용에 따르면, 북방으로 숨어든 양반 이교리는 신분을 속이고 함경도 함흥 땅의 고리백정인 양주삼의 무남독녀 18세 봉단과 결혼하게 된다. 집주인이자 장인이 된 백정신분인 양주삼의 처질(妻姪)이 임돌이고 임돌이의 아들이 이후 유명한 ‘소설 임꺽정’의 주인공이다.

 
◯ 다음 시편 '차재궁조가'는 이행이 이배되어 거제도로 와 있었는데 이장곤이 도망갔다는 소식을 듣고, 도망자 이장곤의 안부를 걱정스레 물으며 탄식하는 글이다.
1) 차재궁조가(嗟哉窮鳥歌) 희강(希剛,이장곤)을 위해 짓다. / 이행(李荇) 거제시 상문동.
“아아, 궁한 새여 상서롭지 못함을 만났구나. 강산에 뻗은 만 리여~ 하늘과 땅이 멀도다.양 날개가 잘림이여~ 날 수가 없도다. 앞에는 그물과 주살 있음이여~ 뒤에는 쇠뇌와 올가미로다. 목숨이 지척 간에 달렸음이여~. 장차 어디로 갈거나? 하늘이 몹시 총명함이여~ 들음이 어긋나지 않도다. 아아, 궁한 새여~ 너의 아름다움을 삼가라.“[嗟哉窮鳥兮 逢不祥 江山萬里兮 乾坤長 六翮遭翦兮 不能翔 前有畢弋兮 後弩機 性命咫尺兮 將安歸 上天孔聰兮 聽不違 嗟哉窮鳥兮 愼汝徽].
[주] 궁조(窮鳥) : 쫓기어 도망할 곳이 없어 곤란한 지경에 빠진 새라는 뜻으로, 어려운 지경에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홍언충은 거제시 장평동 삼성호텔 자리에 살았는데 거제도 유배객 中에, 특히 이장곤과 친하게 지내며 유자도(죽도)로 함께 다녔고 거제도 귤을 함께 나누어 먹기도 했다. 홍언충은 그가 도망갈 것임을 이미 알고 있었고 이에 그도 관원으로부터 추궁 당할 것임을 다음 시(詩)속에 암시하고 있다.
2) 친구에게(贈友) / 1505년 홍언충(直卿洪彦忠字) 거제시 장평동.
詩壇酒席與同調 시인들의 술자리에 함께 어울려서
投漆其如耐久情 견고한 옻칠 속의 오랜 정(情)과 같았지.
勝事當年餘夢覺 그 당시 기뻤던 일을 꿈꾸다 깨어보니
投南今日政魂驚 거제 귀양살이라, 깜짝 놀랐다네.
赤墀靑瑣非吾計 대궐 청쇄 문과는 관련이 없는데도
白鷺滄洲送子行 물가의 백로처럼 떠나는 그대를 보냈지.
君去直卿應問我 그대 가버리면, 응당 나에게 물으리니
爲言憔悴洛陽城 서울 땅의 초쵀한 변명일 뿐이었다.
[주1] 적지(赤墀) : 황제가 거처하는 궁전의 섬돌 바닥은 붉은 칠을 한다,하여 대궐을 뜻한다.
[주2] 청쇄(靑瑣) : 청쇄는 청색 꽃무늬로 장식한 황궁(皇宮)의 문을 말하며, 임금이 있던 궁궐의 문을 이르던 말. 문짝에 자물쇠 모양을 새기고 푸른 칠을 하였다.

3) 이장곤(李長坤)과 더불어(與希剛) 二絶 / 홍언충(洪彦忠) 거제시 장평동.
東郭先生畏寒坐 고루한 글쟁이 선생이 추워 움츠려 앉았고
寓菴居士忍飢吟 우암거사(홍언충)는 배고픔을 참고 읊조린다.
誰分林下新霜橘 누가 숲에 내린 첫서리 맞은 귤을 나누어 줄까?
來慰呑江渴夢心 목마른 꿈속 마음같이 강을 삼키듯 위로받았다.
煙雨秋來靑又黃 가을철 안개비에 푸르고 누런 빛깔,
酸缺新帶洞庭霜 신맛에 단, 신선한 동정귤에 서리 내렸다.
要分兩顆煩包缺 정히 두 개씩 나누어 바쁘게 포장을 하니
攪得詩人覓句腸 어지러운 시인의 마음은 글귀를 찾을 뿐.

 
◯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해 많은 정치인과 학자가 거제도에 유폐되었다. 당시에는 거제 치소가 고현성에 있어 대부분이 구(舊)신현읍에서 위리안치되어 귀양살이를 했다. 홍언충(洪彦忠)도 고현 장평동 바닷가(삼성호텔 일대)에 이배된 것으로 보인다. 그때 구(舊)신현읍에서 함께 유배중이었던 이행(李荇) 자백(子伯), 자진(子眞), 공석(公碩), 대요(大曜), 군미(君美), 공좌(公佐),공백(恭伯), 자선(子善), 원숙(元叔), 강재(強哉), 이인지(李守訒, 訒之), 공신(公信)등과 현(現) 상문동 운문폭포, 소요동 신청담(神淸潭)과 매립전의 고현바닷가, 그리고 유자도(현 대섬(竹島), 현재 유자섬(橘島)은 당시에는 소도(小島)),, 계룡산, 구천동까지 함께 다니며 거제비경을 즐겼다. 거제고을 선비인, 이악, 이맹전(李孟全), 이백완(李伯完)도 가끔씩 참석했다.

4) 벗에게 바치다[贈友人] 그 이름을 잃다(失其名) / 홍언충(洪彦忠)
海上群山了了分 해상에 연이은 많은 산들은 명백히 나누어 보이고
秋風歸思見新文 가을바람 부니 고향 가고픈 마음에 새 글을 본다.
已爲綠蟻尊前地 이미 잘 익은 푸른빛 술을 술잔 앞에 놓고
莫遣中秋月掩雲 추석 구름에 가린 달처럼 보내지 마시라.

5) 우만 대형(이장곤)과 이별하며[奉別祐灣大兄] / 조욱(趙昱 1498∼1557)
九十春光朝暮盡 봄 석 달 봄볕이 아침부터 저물녘이 되도록
一千里路北南分 일천 리 길에서 남북으로 떨어져 비추었네.
平生道義將安仰 평생을 행한 도의(道義) 장차 어느 누굴 우러르며
百歲孤窮未暇言 외롭고 궁핍한 오랜 세월에 말할 겨를이 없었다.
愁逐江波來衮衮 근심은 강 물결 따라와 끝이 없더니
夢尋猿鶴去紛紛 꿈속의 원숭이와 학은 분분히 가더이다.
此身更覺非吾有 이 몸이 변하여 내 몸이 아닌 듯하더니
臨別愴然淚作痕 이별에 몹시 슬퍼져 눈물이 흔적을 남기네.

<이장곤 시에 차운하여 부치다[附次韻 希剛]>
生同一世寧非幸 태어나서 이 세상에 함께 사니 어찌 다행스럽지 않으랴.
況我於君一體分 게다가 나는 자네와 한 몸에서 나누어진 사람인데
可但蘇程誇壽骨 다만 소씨와 정씨가 장수 할 수 있는 골격이라고 서로 위로하듯,
共將龍虎和微言 공히 용과 범처럼 뜻 깊은 말로 서로 화답했다.
已從心地塵緣息 이미 내 본심(本心)이 세속의 인연에 탄식하노니
肯向離筵淚洒紛 기꺼이 이별의 자리에서 눈물을 어지러이 뿌리노라.
白髮高歌看落景 백발가를 큰소리로 부르며 지는 해를 바라보니
茫茫滄海劍無痕 망망한 넓은 바다에는 칼자국도 남지 않는 듯하네.

5) 바다를 건너가는 아우와 이별하며.[送別渡海弟] / 이장곤(李長坤). 여주(驪州) 여강(驪江) 강가 우만(祐灣)에서.
生同一世寧非幸  태어나서 이 세상에 함께 사니 어찌 다행스럽지 않으랴.
況我於君一體分  게다가 나는 자네와 한 몸에서 나누어진 사람인데
白髮高歌看落景  백발가를 큰소리로 부르며 지는 해를 바라보니
茫茫滄海劒無痕  망망한 넓은 바다에는 칼자국도 남지 않는 듯하네.

◯ 거제도로 유배 온 이장곤은 다행이 거제현령이 까다롭지 않았고 현령 또한 서울에서 파견된 관리인지라, 동일한 양반신분과 타향이라는 동류의식으로 인해, 유배인의 점고(點考) 외에는 대체로 자유로웠다. 무예와 용맹이 뛰어난 그는 행동에 거리낌이 없었고 털털한 품성과 더불어 붙임성 또한 대단하였다. 이에 다른 유배인과는 다르게 주인 어부와 연근해 어업을 함께 다니며 그를 도와주기도 했는데 당시 사대부로서 상상도 못할 행동이었다. 어느 무더운 여름날 이장곤은 집주인 앞에, 더위에 지쳐 누워있는데 마침 볼에 앉은 모기를 부채 안 쥔 왼손으로 때리면서 “지독하다.”하니 주인이 말하길, “흉악하지요. 여기 모기는 섬모기라, 고성(固城) 모기와 혼인도 아니한다오.”했다. 거제도 섬모기가 독하긴 독했던 모양이다. 당시 대부분의 유배인은 비릿한 바닷가 음식을 잘 먹지 못해 산나물이나 채소를 즐겨 먹었는데도 그는 각종 해산물과 생선도 날 것을 먹을 정도로 식성 또한 좋았다. 거제도 집주인도 서스름 없고 덕망과 도의를 갖춘 그에게 인간적인 신뢰를 느끼게 되었고, 결국 자신이 곤란한 지경에 처할 줄 알면서도 이장곤의 도망을 돕게 된다. 이후 거제현령은 집주인을 잡아들여 중장(重杖)으로 신문(訊問)하였으나 칭병(稱病)하고 있다가 모야무야에 도망하였다는 것 외에는 별말이 나오지 아니하여, 그 의리를 지켰다. 그러나 결국 거제현령은 파직 후에 논죄(論罪)되었고, 왕은 체포하는 자에게는 중상(重賞)이 있으리라고 팔도에 령을 내리게 된다.
◯ 거제도를 탈출한 이장곤은, 동해안을 따라 함경도로 도망쳐 가던 중에 경북 울진(蔚珍)에 이르렀다. 기골이 장대했던 이장곤은 발이 크다고 소문나 있었다. 관군들이 어찌나 급하게 뒤쫓아 수색하는지 달아나도 벗어날 수 없기에 이르렀다. 이장곤이 길가에서 잠자는 체하고 있었는데 그의 발이 드러났다. 뒤쫓던 자가 그를 지나치면서 말하였다. “이장곤은 필시 이런 데 있지 않을 텐데 어쩌면 저리도 발이 비슷할까? 아마 산 도둑이지 선비는 아닐 것이다“라며 지나쳐, 위기를 넘겼다는 일화가 전해오고 있다. 그가 동해안을 따라 북진 하던 중에도 무사히 함흥에 이를 수 있었던 것은 양반•상놈 가리지 않는 그의 품성이 한 몫 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살아난 이장곤(李長坤)은 이후 함흥 어느 고리백정의 집에서 데릴사위 노릇을 하며, 난을 피하였다. 나중에 중종(中宗)왕이 들어선 후, 나가서 우찬성(右贊成)까지 지냈다. 그는 체구가 거대하여 소년 시절에는 장군이 될 사람이라고 하였다. 발이 커서 생명을 건졌고, 또 함흥에서 취한 백정의 딸을 버리지 않고, 늙을 때까지 고향 경남 창녕에서 해로하여 더욱 명성을 떨쳤다. 중종반정 후에 이장곤이 상경하여 임금에게 사은(謝恩)하니, 임금이 그에게 떠돌아다니던 전말을 물으므로 이장곤이 그 사실을 갖추어 아뢰었다. “이러한 여자를 천첩(賤妾)으로 대우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라며 새삼 감탄하며 특별히 후부인(後夫人)으로 올려주었다. <기묘당적보(己卯黨籍補)>
덧붙여 조선시대 문신이자 학자로 중종 때 병조판서를 지낸 금헌(琴軒) 이장곤(李長坤)의 재실(齋室)인, 금호재(琴湖齋)가 경남 창령군 대합면 대동리 265번지에 있으며, 경남 유형문화재 제262호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이 있기 전까지 창녕의 연암서원에서 그의 제사를 모셨다. 대동리 금호재에서 약 1Km 지점에는 그의 묘소와 함께 금헌묘석상(大同里 琴軒墓石像)이 경남 유형문화재 제296호로 지정되어 있다.
◯ 그는 일찍이 문무를 겸비하였고 다른 사대부와는 다르게 품성과 행실이 특히 소탈(疏脫)하였다. 당시 백성은 물론 양반층까지 아우르는 그의 덕성(德性)으로 인해 연산군이 두려워할 정도였다. 그런고로 1512년 7월 평안도병마절도사로 재직 時에는, 야인 2,000여명이 창성에 쳐들어오자, 군사를 거느리고 맞서 싸워 격파할 정도로 용맹했으며, 그의 학문도 출중해 예조참판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
조선전기 이장곤은 피비린내 나는 사화(士禍) 속에서, 남녘 거제도에서 북녘 함경도까지 도망자 신분에서 이조•병조판사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로 수많은 일화가 전해오고 있으며, 그가 백정의 딸과 결혼하여 죽을 때까지 그 의리를 지킨 점에서, 수백 년 동안 민중들의 이야기꺼리가 되었다. 이장곤은 말년에 경기도 여강(驪江 여주) 강가 우만(祐灣)에서 기거하다가, 다시 고향 경남 창녕으로 내려와 살다가, 46세의 일기로 파란만장한 여생을 마쳤다. 창녕의 연암서원(燕巖書院)에 제향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