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대우·삼성조선 선방(?) 이면엔 협력사의 눈물 있어
대우·삼성조선 선방(?) 이면엔 협력사의 눈물 있어
  • 거제통영오늘신문
  • 승인 2019.04.01 1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악 치닫는 거제경기, 전력소비량으로 확인하다(2-2)

(앞선 기사 보기) '최악 치닫는 거제경기, 전력소비량으로 확인하다(2-1)' 

http://www.geojeoneu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64

 

‘17년 15.9% 줄었던 대우와 삼성의 전력소비량은 ’18년 들어 1.6% 감소하는 데 그쳐 비교적 선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추세를 보건데 ‘18년 후반기에 접어들어 일감이 늘어나며 전반기의 감소세를 빠르게 회복해가는 상황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양대 조선의 회복세와는 달리 전체 산업용 전력의 소비량은 ‘17년에 비해 오히려 ’18년 들어 더욱 줄어드는 추세다.

‘17년 9% 감소했던 전체 산업용 전기의 소비량은 ’18년 들어 11%나 줄었다. 양대 조선이 전체 산업용 전기 소비량 중 차지하는 비중이 80%를 상회하는 점을 감안하면, 조선불황이 사외협력사에 집중적인 타격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18년 들어 사외 협력사가 더욱 심한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한계상황에 이른 공장들이 가동을 아예 멈추는 경우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전력소비량 통계를 통해 추정되는 사회협력사의 가동률 손실이 최소 60% 이상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니, 가히 궤멸적 상황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조선시장이 최고 호황일 때도 수요의 2~30%를 초과했던 공급능력을 감안하면 사외협력사들의 회복은 사실상 요원해 보인다.

물론 초과공급은 거제의 주택시장 역시 겪고 있는 문제지만 누구하나 뚜렷한 출구전략을 제시하는 사람이 없다는 건 꽤나 뼈아픈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상업용 전기소비도 경기하락 직격탄 피해가지 못해

‘17년 0.6%의 사용량 감소를 보이며 비교적 선방(?)하던 일반용(상업용과 일반 사무용) 전기의 사용량이 ’18년 들어 큰 폭으로 꺾이며 4%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는 산업전반의 침체가 상업 활동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음을 짐작케 한다.

손님이 있든 없든, 일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일정 시간 사업장을 운영해야 하는 상업용 전기의 소비특성을 감안할 때, 한계상황에 직면한 소상공인의 수가 늘고 있단 의미로 읽힌다. 이 부분은 핵심 상권을 지나며 흔히 볼 수 있는 가게와 사무실의 임대광고 수를 살피면 어느 정도 짐작이 가능하다.

상업용 건물의 공실률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와 대책 역시 필요해 보인다.

 

불황에도 소비 늘어나는 영역 있어

경기하락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전력소비량이 늘어나는 분야가 바로 농업과 공공 영역이다. ‘17년 10.3%의 소비량 증가를 보였던 농업용 전기는 ’18년 들어서도 9.4%의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의 급격한 하락에도 불구하고 농업용 전기의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원인에는 전반적인 농업의 기계화와 대형화, 그리고 여타 에너지 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농업용 전기의 요금체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으론 도심지역의 경기침체가 귀농인구 증가를 유도한 게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분석을 해본다. 이 부분 또한 좀 더 체계적이고 면밀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농업용 전기의 소비량과 더불어 증가세를 보이는 또 다른 영역은 공공과 교육 분야다.

인구증가율의 정체 또는 하락에도 불구하고 학교 수가 줄어들지 않는 건 학급당 학생의 수가 감소하는 이유와 무관치 않다. 그만큼 교육환경이 개선되고 있단 얘기지만 한정된 정부 예산을 감안할 때 지속가능성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한편 공공의 전력소비량 증가는 늘어나고 있는 공적영역의 폭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지역경기의 부침과 관계없이 삶을 이어갈 수 있는 그들의 특수한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는 것일 수도 있다.

교육 일선과 공적 영역 종사자들의 적극적 에너지 절감 행동과 더불어 햇빛발전소 설치 등을 통한 기관별 전력자립율 제고가 절실한 상황으로 보인다.

작년 11월 경남도교육청은 시민에너지협동조합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학교태양광 사업의 적극적 추진을 천명했다. 하지만 다섯 달이 지난 지금까지 거제지역의 학교 중 태양광 설치를 추진 중인 학교가 하나도 없단 사실은 이 정책이 이름뿐인 생색내기가 아닌가 하는 의심을 품게 한다.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학교태양광 정책의 현주소에 대한 부분은 별도의 기획기사를 준비 중)

 

 

전기 소비량 줄어들며 상대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대폭 상승해

지난 ‘17년 말 기준 거제시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0.05%로 전국 평균의 160분의 1에 머물렀으나, ‘18년 말 기준으로는 두 배가 상승해 0.1%를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절대량 기준으로도 2Gwh를 돌파해 전년 대비 0.8Gwh가 늘어났다. 증가율로 따지자면 66.7%에 달하는 셈이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7년 전국 평균인 8.08%와 비교해도 80분의 1에 불과한 상황이란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사실 거제시의 전력자립율이 낮은 이유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적은 때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기존의 전통적 화력발전소나 핵발전소가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쩌면 다행스런 일이지만, 한편으론 무너진 에너지 정의로 인해 누군가가 희생한 댓가를 우리가 누리며 살고 있단 사실을 직시하는 건 어째 좀 불편하다.

위대한 사상가이자 철학자였던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란 자격 있는 사람에게 마땅히 받아야 할 몫을 주는 것’이라 설명했다. 2300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의 주장이 설득력 있게 들리는 건 어쩌면 우리의 도덕과 정의의 관념이 유전적 진화를 통해 강화되는 것이 아닌 때문인지도 모른겠다.

아무튼 분산형 전원인 신·재생에너지의 생산량을 대폭 늘리고, 지역 내에서 에너지 효율은 높이고 사용은 줄여나가는 것이 에너지 정의를 지키는 첫걸음이란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전환 없인 미래도 없다

소득은 감소하는데 비용은 더 이상 줄이기 힘든 게 불황기를 견뎌내는 저소득자와 실직자들이 맞닥뜨리는 현실이다. 그래서 이런 불황의 와중에도 늘어나는 가정용 전기의 소비량을 데이터를 통해 직접 확인하는 일은 그리 유쾌하지 않다.

따라서 줄어드는 가처분 소득을 만회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선택하는 일은 불황에 맞서는 소비자의 지혜로운 행동이고, 에너지 정의를 스스로 실천하는 선량한 지구인의 인류애 넘치는 결단이다.

한편으론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를 보며 이웃나라에 저주를 퍼붓는 것보단 훨씬 더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자구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국내의 모 기업이 학교에 설치할 공기청정기 만 대를 기부했단 뉴스를 접하며 남다른 선행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가도, 그 기계에 사용될 전기가 어디서 올지를 생각하면 마냥 훈훈할 수만도 없는 현실에 답답함을 느낀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42%는 석탄화력발전을 통해 생산된다. 결국 공기 청정기를 가동하면 최소한 거기서 소비되는 전기의 42% 만큼에 해당하는 미세먼지가 우리가 숨 쉬는 공기에 보태진단 뜻이다.

본질적으로 에너지 전환은 현재의 에너지 믹스 속에서 진행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태양광과 풍력 같은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활동 역시 42%의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전기와 경유를 태우는 덤프트럭과 중장비 사용을 통해 진행될 수밖에 없다.

에너지는 문명을 유지하는 근원적 하부구조다. 따라서 에너지 전환은 기존 ·경제시스템의 핵심에 대수술을 가하는 지난(至難)한 과정이고, 사회적 가치의 전환에 대한 다수의 동의와 결단을 필요로 하는 대역사(大役事)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에너지 전환에 필요한 시간을 3~40년 정도로 길게 예측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래서 에너지 전환은 단기간에 성취될 수 없다.

그래서 무엇보다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사회적 대전환이 다수 사회 구성원들의 극단적 고통과 함께 일어날 수밖에 없다는 건 상식선에서 이해 가능한 이야기다. 왜냐하면 다수가 만족하는 사회엔 축적된 고통의 총량이 적고, 이게 적다는 건 극적인 전환에 필요한 동력이 부족하단 이야기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수의 각성된 자들만의 노력으로 사회적 대전환을 꿈꾸는 사람은 보통의 경우 몽상가나 이상주의자로 치부되어 손가락질 받기 십상이다.

하지만 민주적 정치제도 속에서 다수의 선택에 의해 합법적 권력을 부여받은 소수의 각성이 있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굳이 많은 사람의 고통이 전제되지 않아도, 또 필요 이상의 희생 없이도 패러다임의 극적인 전환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그러기 위해선 합법적 권한을 부여받은 소수의 각성과 인식의 전환이 선행돼야 하겠지만 말이다.

에너지 전환도 다르지 않다.

미세먼지로 인해 겪어야 할 일상의 고통이 심해지고,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적 재난이 극심해지기 시작하면 고통의 크기에 비례하는 만큼의 비용을 감내하고자 하는 사회적 합의는 가능해질 것이다.

하지만 온 세상이 고통스런 비명으로 뒤덮이기 전에 선제적 조치를 통해 이를 막을 수 있다면, 그런 방법이 있다면 주저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

그 책임은 특정 개인이 아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있다. 다만, 각자가 가진 권한과 사회로부터 받고 있는 혜택의 크기에 따라 책임의 무게가 다를 뿐이다.

그래서 마땅히 책임을 느껴야 할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행동이 시급함을 지적한다.

그것이 2300년 동안 변하지 않는 사회적 정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