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거제도의 노거수
거제도의 노거수
  • 거제통영오늘신문
  • 승인 2014.06.23 1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 거제도 노거수


▲ 한내 모감주나무숲
1)한내리 모감주나무
한내리 모감주나무 군락
7월 산야에 초록이 지쳤을때 왕관을 장식하는 깃털처럼 우아하게 꽃대를 타고 자그마한 꽃들이 노랗게 줄줄이 달리는 모감주나무는 붉은 꽃 배롱나무와 더불어 꽃이 귀한 여름에 사람들 시선을 사로잡는다. 동화 속 황금궁전을 연상하게 하는 고고한 금빛 꽃을 지닌 모감주나무를 서양 사람들은‘황금비(雨)가 쏟아지는 것 같다’며 ‘Golden Rain Tree'라고 부른다.
고현에서 오비쪽으로 해안을 따라가면 한내마을 앞에 크고 작은 모감주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근래에 심은 것까지 40여 그루가 되고 가장 큰 나무는 높이가 15m 밑둥 지름이 70cm나 되는 노거수이다. 통일신라시대 남해안의 큰 절이었던 하청 북사(北寺)를 다녀가던 금강산 큰스님이 심었다고 전해진다.‘우환이 없다’는 뜻을 지닌 무환자나무과(科) 모감주나무를 안녕과 번성을 기원하면서 심었다지만 사찰 길목 이화기목(異花奇木)은 장소표식 뜻도 짐작된다. 황금색은 불가에서 부처님 몸(法身)색깔이자 세속에서는 돈,부자를 의미한다. 고단했던 농경시대 거제도사람들은 바닷가 어센 땅 모감주나무 황금꽃을 보고 희망을 꿈꾸었으리라. 한내리 모감주나무 군락은 곰솔과 팽나무가 이웃하여 방조림을 이루고 있어서 이 숲에서 풍어제를 지내고, 삼짓날‘헷치’라고 하는 들놀이 하는 장소였다.

2)덕포리 이팝나무

▲ 덕포 이팦나무
오뉴월 보릿고개, 농삿일이 바빠지는 입하(立夏) 때 하얀 쌀밥(이밥)을 그득히 담아 놓은 모양으로 꽃이 피는 이팝나무는 줄기와 잎이 감나무를 닮은 물푸레나무과(科) 고유 종(種)으로 세계적으로 희귀수종에 속한다. 잘 자라고 수형과 꽃이 좋아 정자목 궁궐 공원 가로수로 심는다. 거제도와 가까운 대마도를 상징하는 나무이고 영명은‘Snow Flower’이다. 옥포대첩공원 지나 외포 가는 길 덕포리 마을 앞 이팝나무는 나무가 서 있는 위치와 거제도 자생식생 분포를 감안하여 보면 심어 기른 것으로 추정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던 시절 마을 큰들에 감 밤 복숭아 대추와 같은 과목(果木)이 아닌 화목(花木)을 심었다는 것은 거제도사람들 안목과 문화의식을 반증한다. 또한 이팝나무 꽃이 피는 때와 꽃 상태를 보고 농사시기를 가늠하고 풍흉(豊凶)을 점쳤으니 이는 기온과 강우에 민감한 이팝나무의 생리학적 특성을 경험하여 얻은 실사구시 과학이었다. 농경시대 달력 역할을 톡톡히 한 덕포리 이팝나무 아래에는 지금은 사라졌지만 작은 돌무더기가 있었다. 마을의 평안를 기원하는 돌탑이었으나 왜구나 불한당이 침입하거나 맹수가 나타났을 때 돌무더기 돌은 호신 무기‘짱돌’이 되기도 하였다.


▲ 외간 동백나무
3)외간리 동백나무
동백나무는 곰솔(海松)과 함께 거제도 자생식물상 깃대종이다. 동백꽃은 거제도를 대표하고 거제도 사람들의 삶과 정서가 고스란히 배어있는 꽃 중의 꽃이다 일본,유럽에도 인기 있는 동백은 원예품이 2,000종이 넘고 영명은‘Camellia’이다.
외간리 마을 뒷밭에 장엄한 자태로 하늘을 받쳐 들고 있는 동백나무는 조선태종 후위 효령대군의 9대손이 입촌(入村)하면서 심었다고 전해오는데 거제도 지천에 흔한 동백나무가 동서로 마주 보고 심겨진 현상은 균제(均齊)와 위계(位階)라는 조선시대 주류(主流)문화와 다름이 아니기에 신빙성이 있다 할 것이다. 한양에서 내려 온 양반네 눈엔 이국적으로 보였던 동백을 예로부터 매화와 같이 한사(寒士)라 불렸던 까닭은 벌과 나비도 없는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처연함이 가난한 선비의 모습과 닮았고, 시들지 않은 채 뚝뚝 떨어지는 꽃은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선비의 절개를 닮았기 때문이거늘 거제도 촌부(村夫)라고해서 어찌 선비와 다를 수 있겠는가. 동백나무를 대나무와 함께 혼례상에 올려 백년가약을 맺었고 신식결혼식 초기까지 동백나무 가지로 부케를 만들였다. 거제도 사람들은 동백나무 꽃 필 무렵 결혼하고, 논밭 갈고, 바다에 나갔으니 동백은 거제도 봄의 또 다른 이름이리라.


4)소동리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민족수(樹)라 부르는 소나무와 더불어 한국을 대표하는 나무이고 경상남도 도목(道木)이자 서울대학교와 삼성그룹 상징하는 나무이다. 느티나무는 거제도 사람들과 오랜 세월을 함께 살아오면서 많은 전설과 사연을 지니고 있으며 칠백리 섬 곳곳에 언제나 거목의 자태로 넉넉한 그늘을 만들어 주고 있다.
일운면 북쪽 옥녀봉 자락 소동마을 느티나무는 거제도 내 수많은 느티나무 중에서 가장 웅장한 수형을 자랑하는 정자목이다. 둥글고 넓게 퍼진 굵은 뿌리줄기가 용트림하듯 땅 위로 솟은 판근(板根)은 긴 세월을 살아 온 고목(古木)의 위용이자 앞으로 살아갈 세월에 대한 자신감이고, 거제도 노거수 미학의 백미이다. 소동리 느티나무는 경복궁이나 경남도청 위치에 해당되는 마을 위쪽 가운데 자리하여 동리(洞里) 법통(法統)이자 정신적 지주였다. 느티나무 뒤로 집을 짓거나 잔가지 하나 손대는 일 없고 정월 초하루 어김없이 당산제를 모신다. 그렇다고 신성불가침은 아니다.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갖가지 놀이와 이야기,노랫소리가 사시사철 끊임이 없었다. 지금 이 팍팍한 세상, 삶의 무게가 저절로 스러졌던 거목의 그늘이 그립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